본문 바로가기

토목시공기술사137

교량관리시스템 1. 개요 교량은 국가 기반시설의 핵심 요소로, 그 안전성과 기능성 유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교량의 수가 증가하고 노후화됨에 따라,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교량관리시스템(Bridge Management System, BMS)이 도입되어 교량의 전 생애주기에 걸친 종합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2. 교량 관리 시스템의 정의 교량 관리 시스템(BMS)은 교량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전 과정에 걸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관리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입니다. BMS는 교량의 현재 상태, 이력 정보, 미래 성능 예측 등을 포함하여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3. 교량 관리 시스템의 목적(예방적 유지보수) - 교량의 안전성.. 2024. 9. 19.
숏크리트 리바운드 최소화 방안 숏크리트 리바운드 최소화 방안1. 숏크리트 리바운드의 정의압축공기로 분사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가 시공 표면에서 반발하여 떨어지는 현상2. 숏크리트 리바운드 발생 원인 부적절한 타설 압력 부적절한 타설 각도 및 방향 부적절한 배합비 시공 표면 상태특히, 천장부 시공 시 더 많이 발생하며, 과도한 용수나 표면 오염도 원인이 될 수 있음3. 숏크리트 리바운드의 문제점 1차적: 숏크리트 강도 및 부착력 저하, 분진발생으로 인한 작업 환경 악화 2차적: 재료 손실 및 폐기물 처리로 인한 경제적 손실4. 리바운드 최소화 방안1) 사전준비 용수처리(배수관 설치)2) 타설 중 타설기술: 압력: 노즐 상단 0.1~0.2MPa, 장비에서 0.2.. 2024. 9. 17.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앵커와 파괴 유형 1. 개요콘크리트용 앵커는 콘크리트 구조물 요소 간 또는 안전 관련 요소 간에 구조 하중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연결 장치이 앵커들은 인장력, 전단력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은 앵커의 성능에 크게 의존하므로, 앵커의 종류와 파괴 유형에 대한 이해는 구조 엔지니어와 시공 기술자에게 매우 중요주요 파괴 유형으로는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 파괴, 강재 파괴, 뽑힘 파괴, 앵커축-슬리브 분리 뽑힘 파괴, 측면 파열 파괴, 쪼갬 파괴 등이 있음.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은 앵커의 성능에 크게 의존하므로, 앵커의 종류와 파괴 유형에 대한 이해는 구조 엔지니어와 시공 기술자에게 매우 중요2. 콘크리트용 앵커의 종류2.1 선설치 앵커헤드 볼트: .. 2024. 9. 14.
액상화 평가[내진설계 일반(KDS 17 10 00)] 1. 개요목적: 기초 및 지반의 액상화 피해 최소화주체: 지반분야 책임기술자가 검토참고 자료: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액상화 가능성 지도기준: 시설물별 성능목표에 따른 재현주기 적용절차: 내진등급과 관계없이 2단계(예비평가, 본평가)2. 예비평가단위깊이(지층두께 1.5m이하) 별로 평가생략조건:연중 최고지하수위 상부 지층심도 20m 초과 지층SPT-N값 25초과 지층N값은 에너지효율 보정 전 값 사용지층 내 평균값 사용 금지, 측점별 평가 필요고소성 점토거동 유형 지반(그림 4.7-1의 영역 C에 해당) 주의: 고소성 점토거동 유형 지반의 경우, 액상화 가능성은 낮으나 반복연화로 인한 강도저하 및 대변형 가능성이 있습니다.3. 내진특등급 시설물 추가 검토실트나 점토에서 반복전단응력에 의한 반복연화로 인한 동.. 2024. 9. 8.
산업시설의 내진설계,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때 현행 내진설계는 주로 건물 구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고부가가치 산업시설의 비구조요소와 2,3차 피해에 대한 대응이 미흡함.두 가지 새로운 접근이 필요합니다:산업시설 특성을 반영한 내진설계 가이드라인 구축산업별 맞춤형 기준 개발비구조요소 상세 분류 및 평가연쇄 피해 고려한 설계 기준운영 영속성 중심의 성능기반 내진설계 도입사업 연속성 계획과 연계한 목표 설정다단계 성능 목표 체계 도입경제성 분석 통합이러한 접근으로 산업시설의 지진 대응 능력을 높이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할 수 있음. 2024. 9. 8.
면접 질문 및 분석(작성중)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