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시공기술사/9. 콘크리트공사26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시기 1.거푸집 및 동바리의 해체시기 정의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시기란, 콘크리트가 소요의 강도를 발현하여 자중 및 시공 중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시점2.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의 기본원칙1) 콘크리트가 자중 및 시공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확보2) 해체시기 및 순서는 책임기술자 승인3) 배합, 구조물의 종류, 온도조건 등 고려3.거푸집 및 동바리의 해체 시기1) 압축강도 시험에 의한 경우 (1) 측면 거푸집(기초, 보, 기둥, 벽 등) - 압축강도 5MPa 이상 - 내구성이 중요한 구조물: 10MPa 이상 (2) 하부 거푸집(슬래브, 보 밑면, 아치 내면) - 단층구조: fck의 2/3이상(최소 14MPa) - 다층구조: fck 이상(최소 14MPa)2) 압축강도 시험을 하지 않는 경우 (1) 2.. 2025. 1. 9.
해양 콘크리트의 재료, 배합, 시공에 대해 설명하시오. 2025. 1. 8.
트레미에 의한 타설(트레미 공법) 2025. 1. 2.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1. 정의결합재로 시멘트와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고무라텍스, 수지에멀젼 또는 재유화형 분말수지)를 함께 사용한 콘크리트시멘트의 수화반응과 폴리머의 필름형성 작용을 통해 제조되는 고성능 시멘트계 복합재료시멘트 수화반응: 수산화칼슘 등 수화생성물 형성폴리머 필름형성: 시멘트 매트릭스 내부 및 골재 계면에 연속적인 필름 형성→ 두 반응의 복합작용으로 개선된 물성 발현2. 일반콘크리트와의 특징 비교구분일반 콘크리트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구성재료시멘트+물+골재시멘트+물+골재+폴리머 혼화재강도특성- 압축강도 우수- 인장/휨강도 취약- 압축강도 15MPa 이상- 휨강도 5MPa 이상- 부착강도 1MPa 이상내구성능- 투수성 높음- 화학저항성 낮음- 흡수율 15% 이하- 수밀성 우수- 화학저항성 향상시공성- 단순 배합/.. 2024. 11. 15.
KCS 14 20 20 경량골재 콘크리트(22.01) 1. 경량콘크리트의 정의- 골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경량골재로 사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굵은골재만 경량골재 사용(1종), 잔골재와 굵은골재 모두 사용(2종)2.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특성1) 물리적 특성- 일반 콘크리트 대비 30% 정도 중량 감소- 골재의 흡수율이 높아 시공 중 슬럼프 손실이 큼2) 역학적 특성- 탄성계수가 일반 콘크리트보다 작음- 크리프 변형은 일반 콘크리트보다 큼- 건조수축이 커서 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음3) 시공적 특성- 펌프압송성이 일반 콘크리트보다 불리함- 재료분리 저항성이 낮음- 다짐작업이 어려워 콘크리트 품질변동이 큼3.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시공관리방안1) 재료적: 골재 저장설비에 살수설비 구비, 프리웨팅으로 급격한 함수변화 방지2) 배합적: 함수율 정기적 측정으로 배합보정.. 2024. 11. 13.
시스템동바리(KCS 21 50 05) 1. 시스템 동바리의 정의 시스템 동바리란, 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등 각각의 부재를 공장에서 미리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 2. 시스템동바리의 구성요소(시스템 동바리 안전보건작업지침) 받침철물: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하부 연결재 수직재: 거푸집의 상부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는 기둥 부재 수평재: 수직부재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재의 직작으로 연결하여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부재 가새재: 동바리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를 말하며, 수평재-수평재 또는 수직재-수직재를 연혈하는 부재 U헤드: 멍에 지지를 위한 상부 연결재 3. 시공 전 준비사항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가설기자재 안전인증품 확인 - 재사용품은 최초 인증 당시의 품질 요구성능(개조 금지) 및 구조적.. 2024.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