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시공기술사/9. 콘크리트공사26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앵커와 파괴 유형 1. 개요콘크리트용 앵커는 콘크리트 구조물 요소 간 또는 안전 관련 요소 간에 구조 하중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연결 장치이 앵커들은 인장력, 전단력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은 앵커의 성능에 크게 의존하므로, 앵커의 종류와 파괴 유형에 대한 이해는 구조 엔지니어와 시공 기술자에게 매우 중요주요 파괴 유형으로는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 파괴, 강재 파괴, 뽑힘 파괴, 앵커축-슬리브 분리 뽑힘 파괴, 측면 파열 파괴, 쪼갬 파괴 등이 있음.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은 앵커의 성능에 크게 의존하므로, 앵커의 종류와 파괴 유형에 대한 이해는 구조 엔지니어와 시공 기술자에게 매우 중요2. 콘크리트용 앵커의 종류2.1 선설치 앵커헤드 볼트: .. 2024. 9. 14.
기존 구조물의 내진보강 공법 1. 기존 구조물의 내진보강 공법 정의기존 구조물의 내진보강 공법이란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구조물에 적용하는 보강 기술이는 구조물의 강도, 연성, 강성을 증가시켜 지진 발생 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2. 종류내진보강 공법은 크게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2.1 습식공법철근콘크리트 증설공법철판접착공법섬유보강공법(FRP)2.2 건식공법강판부착공법프리스트레스 도입공법제진장치 설치공법기계적 체결방법(ESR 공법 등)3. 비교표구분습식공법건식공법원리콘크리트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구조체와 일체화기계적 연결 또는 외부 장치 부착으로 보강구성(재료)콘크리트, 철근, 에폭시, 섬유시트 등강판, 강봉, 제진장치, 체결부품 등장점- 구조.. 2024. 9. 6.
PSC Grout 재료의 품질조건 1. PSC 그라우트의 정의PSC Grout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강연선과 덕트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재료로,강연선의 부식 방지와 하중 전달 기능을 수행2. PSC 그라우트 재료의 요구조건PSC 그라우트는 유동성, 블리딩 저항성, 체적 안정성, 강도, 내구성 등의 요구조건을 만족3. 시험 시기 및 횟수품질검사는 주입 전, 1회/일 이상 실시하며, 품질변화가 인정될 때 추가로 실시4. 품질검사 항목 및 판정기준(KCI-PS102)항목판정기준유동성유하시간: 배합직후 25초 이하, 30분 경과 초기치의 80% ~ 120% 이며 25초 이내플로우: 배합직후 140mm 이상, 30분 경과 초기치의 80% ~ 120% 이며, 140mm 이내블리딩3시간 경과 시 0.3% 이하체적변화율24시간 경과 시 -1 ~.. 2024. 8. 23.
수중콘크리트와 수밀콘크리트 비교 비교 항목수중콘크리트수밀콘크리트원리높은 점성과 응집력으로 수중 분리 저항낮은 투수성으로 수압에 대한 저항적용대상지하연속벽, 현장타설콘크리트 등저수조, 정수장, 하수처리장, 지하구조물주요 특성수중불분리성, 유동성낮은 투수성, 높은 밀실도장점수중에서도 강도 발현 가능, 시공성 양호방수성 우수, 내구성 향상단점품질확인 곤란, 재료분리, 강도 저하시공관리가 까다롭고, 균열에 취약품질기준슬럼프 18±2.5cm, 압축강도 21MPa 이상투수계수 1×10^-8cm/sec 이하, 허용균열폭 0.1mm 이하시공 시 주의사항트레미관 사용, 수중낙하 높이 제한유속 50mm/sec 이하선단 삽입깊이 0.5m적당한 간격의 시공이음콜드 조인트 방지 2024. 8. 23.
고성능 콘크리트 폭열현상 1. 고성능 콘크리트 폭열현상의 정의고성능 콘크리트의 폭열은 화재 시 콘크리트 표면이 폭발적으로 탈락하는 현상 2. 고성능 콘크리트 폭열 발생 메카니즘표면건조: 표면의 수분이 급격히 증발하여 건조 상태가 됨수분이동: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이 이동함수분층 형성: 콘크리트 내부에 수분층(moisture clog)이 형성됨증기압 발생: 수분이 기화하면서 내부 공극에 증기압 발생인장강도 초과: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폭열 발생: 콘크리트 표면이 폭발적으로 탈락하며 내부 노출3. 화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물리적 영향폭렬현상으로 인한 단면 손실 및 구조 성능 저하콘크리트 강도 저하철근 노출로 인한 내화성능 급격한 저하화학적 영향중성화 현상 발생: Ca(OH)2 + 화재 → CaO + .. 2024. 8. 22.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관리 방안 1. 서론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결정짓는 핵심 특성임.본 고에서는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일반적인 관리방안과 하절기 특별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함.2.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2.1 재료적 요인a) 시멘트: 시멘트의 종류, 품질, 분말도가 수화반응 속도와 강도 발현에 영향b) 골재: 골재의 강도, 입도, 형상이 콘크리트의 충전성과 강도에 영향c) 혼화재: 포졸란 반응을 통한 장기강도 증진 및 수화열 저감 효과d) 혼화제: 워커빌리티 개선을 통한 단위수량 감소 및 간접적 강도 영향2.2 배합적 요인a) 물-시멘트비 (W/C): W/C가 낮을수록 공극률 감소로 강도 증가b) 시멘트 페이스트 용적: 적정 페이스트 용적이 골재 결합과 강.. 2024.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