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산업안전지도사(건설)/산업안전지도사 3차 면접 답변100

46.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대상, 건축공사의 계상기준, 관급공사시 적용사항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대상, 건축공사 계상기준, 관급공사 적용사항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첫째, 적용대상입니다. 건설공사 중 총공사금액 2천만원 이상인 공사에 적용하며, 단가계약의 경우 총계약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둘째, 건축공사 계상기준입니다. 대상액 5억원 미만은 3.11%,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은 2.28%에 기초액 432만5천원 가산, 50억원 이상은 2.37%, 보건관리자 선임대상인 800억원 이상 공사는 2.64%를 적용합니다.셋째, 관급공사 적용사항입니다. 발주자가 재료를 제공하거나 완제품이 납품되는 경우, 해당 재료비를 포함하여 산출한 값과 제외하고 산출한 값의 1.2배 중 작은 값 이상으로 계상해야 합니다.이상입니다." 2025. 7. 5.
45. 산업안전보건관리비와 안전관리비의 계상기준과 사용항목★★★★ "산업안전보건관리비와 안전관리비의 계상기준과 사용항목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먼저 산업안전보건관리비입니다. 건설공사발주자가 재료비와 직접노무비를 합한 대상액에 공사종류와 금액에 따른 정해진 비율로 계상하며, 대상액 구분이 없으면 총공사금액의 70%로 봅니다.사용항목은 9개 항목으로, 안전·보건관리자 임금, 안전보건교육비, 안전보건진단비, 안전시설 및 스마트안전장비, 보호구 관련비용, 건강장해 예방비, 전문지도기관 대가, 전담조직 구성비, 위험성평가 개선비입니다. 다음으로 안전관리비입니다. 건설공사 계약 체결 시 계약예규에 따라 공사원가계산서에 안전관리비 항목으로 계상합니다.사용항목은 7개 항목으로, 안전관리계획 작성비, 정기안전점검비, 피해방지대책비, 가설구조물 안전성 확인비, 통행안전관리비, 안전모니터.. 2025. 7. 5.
44. 위험성평가 지침에서 정의하는 용어 ★★★★ "위험성평가 지침에서 정의하는 주요 용어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첫째, 유해위험요인입니다. 유해·위험을 일으킬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것의 고유한 특징이나 속성을 의미합니다.둘째, 위험성입니다. 유해·위험요인이 사망,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중대성 등을 고려한 위험의 정도를 말합니다.셋째, 위험성평가입니다. 사업주가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위험성 수준을 결정하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고 실현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이상입니다." 2025. 7. 5.
43. 터널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에 따른 터널공사 환기기준 ★★★★ "터널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에 따른 터널공사 환기기준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첫째, 기본원칙입니다. 터널 전지역에 항상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의 환기설비를 설치하고, 터널 내 기온을 37℃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둘째, 용량기준입니다. 환기용량은 인원, 장비, 발파가스, 분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고, 발파가스 환기량, 장비 및 인원 환기량 또는 인원 및 분진 환기량 중 큰 값을 적용합니다. 셋째, 환기방식입니다. 중앙집중환기방식, 단열식 송풍방식, 병열식 송풍방식 등의 기준에 의하여 현장 여건에 맞는 적정한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넷째, 관리기준입니다. 발파 후 30분 이내에 환기를 완료해야 하며, 환기가스처리장치가 없는 디젤기관의 터널 내 투입을 금지해야 합니다.이상입니다." 2025. 7. 5.
42. 해체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상 해체대상 구조물조사 사항 ★★★★ "해체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상 해체대상 구조물조사 사항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첫째, 구조물 기본정보 조사입니다. 구조의 특성 및 연수, 층수, 건물높이, 기준층 면적을 조사하고, 평면 구성상태, 폭, 층고, 벽 등의 배치상태를 파악하며, 부재별 치수, 배근상태, 해체시 주의하여야 할 구조적으로 약한 부분을 확인하고, 해체시 전도의 우려가 있는 내외장재를 조사해야 합니다.둘째, 구조물 상태 및 이력 조사입니다. 구조물의 설립연도 및 사용목적을 파악하고, 구조물의 노후정도, 재해(화재, 동해 등) 유무를 확인하며, 증설, 개축, 보강 등의 구조변경 현황을 조사해야 합니다.셋째, 설비 및 해체공법 조사입니다. 설비기구, 전기배선, 배관설비 계통의 상세를 확인하고, 해체공법의 특성에 의한 비산각도, 낙하반경 등을.. 2025. 7. 5.
41. 건물 등의 해체작업시 사전조사 내용과 작업계획서의 내용 ★★★★ "건물 등의 해체작업시 사전조사 내용과 작업계획서의 내용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먼저 사전조사 내용입니다.첫째, 주변 상황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둘째, 해체건물 등의 구조 조사를 해야 합니다.다음으로 작업계획서의 내용입니다.첫째, 해체의 방법과 해체 순서도면을 포함해야 합니다.둘째, 화약류 등의 사용계획서를 포함해야 합니다.셋째, 작업용 기계·기구 등의 작업계획서를 포함해야 합니다.넷째, 가설설비·방호설비·환기설비와 살수·방화설비 등의 방법을 포함해야 합니다.다섯째, 사업장 내 연락방법을 포함해야 합니다.여섯째, 폐기물 처분계획을 포함해야 합니다.일곱째, 그 밖에 안전·보건에 관련된 사항을 포함해야 합니다.이상입니다." 2025. 7.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