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산업안전지도사(건설)/산업안전지도사 3차 면접 답변26 26. 지게차의 방호장치 종류 ★★★★ 지게차의 방호장치 종류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첫째, 낙하물을 방지하는 헤드가드와 적재물이 마스트 방향으로 떨어지는것을 방지하는 백레스트가 있습니다. 헤드가드의 강도는 최대하중의 2배 또는 최대 4톤의 등분포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상부 개구는 16센티미터 미만이어야 합니다.둘째, 앉아서 조작하는 지게차에는 전복 시 운전자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벨트가 있습니다.셋째, 시야 확보 장치인 전조등과 후미등입니다.넷째, 충돌 방지 장치로 후진경보기와 경광등 또는 후방감지기가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2025. 6. 28. 25. 비계의 높이가 2미터 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발판의 기준 ★★★★ 비계의 높이가 2미터 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발판의 기준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먼저 2미터 이상 높이는 추락 시 중대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기준으로, 이 높이부터는 작업발판에 대한 엄격한 안전기준이 적용됩니다. 작업발판의 기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발판재료는 작업 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것을 사용해야 하고, 작업발판의 폭은 40센티미터 이상, 발판재료 간의 틈은 3센티미터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반드시 둘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켜야 하며, 작업발판의 지지물은 하중에 의해 파괴될 우려가 없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특히 2미터 이상 높이에서는 추락위험이 있는 장소에 안전난간 설치가 원칙이며, 작업 특성상 곤란할 때만 추.. 2025. 6. 28. 24. 비계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과 작업발판의 구조 ★★★★ 비계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과 구조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먼저 최대적재하중부터 말씀드리면, 비계의 구조와 재료에 따라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고 절대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비계의 종류에 따라, 강관비계는 400kg, 이동식비계의 경우 250kg, 시스템비계의 경우 제조사가 정한 최대 적재하중을 초과해서는 안됩니다. 다음으로 작업발판의 구조요건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일반적으로 발판재료는 작업 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것을 사용해야 하고, 작업발판의 폭은 40센티미터 이상, 발판재료 간의 틈은 3센티미터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반드시 둘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켜야 하며, 작업발판의 지지물은 하중에 의해 파괴될 우려가 없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 2025. 6. 28. 23. 기상악화로 작업 중지 후 비계의 점검사항 ★★★★ 기상악화로 작업 중지 후 비계의 점검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강풍, 폭우, 폭설 등 기상악화는 비계 구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작업 재개 전 철저한 점검이 생명과 직결됩니다.기상악화 후 비계 점검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먼저, 작업면 안전성 점검이 우선입니다.발판 재료의 손상 여부와 부착, 걸림 상태를 확인하여 근로자가 직접 서게 될 작업면의 안전성을 우선 검증해야 합니다.손잡이의 탈락 여부도 함께 점검하여 추락방지 기능을 확인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연결부 안전성 점검이 필요합니다. 연결 재료 및 연결 철물의 손상, 부식 상태를 확인하고, 연결부 및 접속부의 풀림 상태를 점검하여 비계 전체의 구조적 일체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지구조 안정성 점검이 중요합니다. 기둥의 침하, 변형.. 2025. 6. 27. 22. 강관틀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준수해야 할 사항 ★★★★ 강관틀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준수해야 할 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강관틀비계는 표준화된 프레임 구조로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지만,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준수사항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강관틀비계 조립 사용 시 준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먼저, 안정적인 기초 설치가 필수입니다. 비계기둥의 밑둥에는 밑받침 철물을 사용해야 하며, 밑받침에 고저차가 있는 경우에는 조절형 밑받침철물을 사용하여 강관틀비계가 항상 수평 및 수직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구조적 강화 조치가 중요합니다. 높이가 20미터를 초과하거나 중량물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 간의 간격을 1.8미터 이하로 줄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야 합니다. 또한 주틀 간에 교차 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 2025. 6. 27. 21. 시스템비계의 조립 작업 시 준수사항 ★★★★ 시스템비계의 조립 작업 시 준수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시스템비계는 고소작업의 핵심 안전시설로, 조립 단계부터 철저한 안전관리가 근로자 생명과 직결됩니다.시스템비계 조립 작업 시 준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안정적인 기초 설치가 필수입니다.비계 기둥의 밑둥에는 밑받침 철물을 사용해야 하며, 밑받침에 고저차가 있는 경우에는 조절형 밑받침 철물을 사용해 시스템비계가 항상 수평과 수직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경사진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피벗형 받침 철물이나 쐐기 등을 사용해 밑받침 철물의 바닥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전기안전 확보가 중요합니다. 가공전로에 근접하여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공전로를 이설하거나 가공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는 등 가공전로와의 접촉을 .. 2025. 6. 27.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