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요소 프로파일(Hazard Profile)은?
- 건설현장의 공사목적물, 주변 건축물, 가설구조물 등의 안전과
- 작업자들의 안전을 저해하는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유해위험)을 발굴하여 공종별 위험요소(Hazard)를 분류한 기본 표준자료
관련 근거: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의 제4조와 제12조
위험요소 프로파일 개발의 단계별 목적
- 발주자:
- 사업계획단계 및 설계발주단계에서 건설안전을 고려한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지원
- 종합정보망(CSI)에서 제공하는 건설공사 위험요소 프로파일을 참조
- 설계자:
- 설계서(과업지시서)의 설계조건을 반영으로 위험요소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설계단계에서 건설안전에 치명적인 위험요소를 도출하고 저감대책을 설계에 반영
- 시공자:
- 건설공사 위험요소 프로파일을 반영한 안전관리계획서 수립
- 건설사업관리기술자:
- 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에서 검토한 위험요소 프로파일을 검토 확인
위험요소 프로파일의 구성
위험요소(Hazard)와 위험성(Risk)으로 구성
위험요소: 객체(굴착사면, 거푸집, 동바리), 위치(지붕, 고소, 지하), 작업(타설, 해체, 설치, 양중)
리스크: 빈도와 심각성으로 구성
'토목시공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교통류 체계 정립 및 도로용량 분석 (0) | 2024.08.02 |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원인 (0) | 2024.07.30 |
강우가 콘크리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 (0) | 2024.07.02 |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험포장 (0) | 2024.06.29 |
하도수관 연결(KCS 61 20 35) (0) |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