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시공기술사/9. 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 지연제

by 토목기술자장씨 2024. 8. 12.

  1. 정의 콘크리트 지연제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지연시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을 늦추는 혼화제
  2. 종류
    1. 무기계: 인산염, 붕산염, 아연염 등
    2. 유기계: 리그닌설폰산염, 옥시카르본산염, 당류 등
  3. 과다, 과소 사용 시 문제점
    1. 과다 사용 시 (1) 응결 지연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강도 발현 지연 (2) 블리딩 증가로 인한 표면 품질 저하
    2. 과소 사용 시 (1) 원하는 응결 지연 효과를 얻지 못함 (2) 콜드조인트 발생 위험 증가
  4. 품질기준
    1.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에 따른 품질기준 준수
    2. 응결시간 (1) 초결 5시간 이상 지연 (2) 종결 10시간 이상 지연
    3. 압축강도 (1) 재령 7일 95% 이상 (기준 콘크리트 대비) (2) 재령 28일 90% 이상 (기준 콘크리트 대비)
  5. 요구조건
    1. 적정 지연 효과 발현
    2. 콘크리트의 장기 강도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 것
    3. 작업성 개선 효과
    4. 수화열 저감 효과
  6. 사용 시 주의사항
    1. 사용량은 시멘트 중량의 0.2~0.3% 범위 내에서 조절
    2. 기온에 따른 적정 사용량 조절 필요
    3. 타설 후 적절한 양생 관리 중요
    4. 다른 혼화제와 사용 시 호환성 확인 필요
  7. 역할 및 효과
    1. 응결시간 조절: 보통 2~3시간, 최대 24시간까지 지연 가능
    2. 장거리 운반 시 워커빌리티 유지
    3. 대규모 타설 시 작업시간 연장
    4. 콜드조인트 방지
    5. 수화열 저감으로 온도균열 위험 감소
    6. 초기강도 저하 억제 및 장기강도 증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