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위험요인 3가지: "[전충낙]"
- 전: 전도 위험 (넘어짐, 경사각초과, 압력이상)
- 충: 충돌 위험 (갑작스런 움직임, 구조부분 파손)
- 낙: 낙하 위험 (하물낙하, 압력이상)
🔸 안전대책 4가지: "[설안해경]"
- 설: 설계기준 준수 (제조자 사용설명서)
- 안: 안전밸브 조정 (최대 정격하중 압력 이하)
- 해: 해지장치 사용 (하물 운반 시)
- 경: 경사각 제한 (명세서 범위, 3톤 미만은 제조자 지정)
이동식 크레인의 위험요인과 안전대책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위험요인은 첫째, 전도 위험(넘어짐, 경사각 초과 등), 둘째, 충돌 위험(압력이상 → 갑작스런 움직임, 구조부분 파손 등), 셋째, 낙하 위험(하물 낙하, 압력이상으로 인한 낙하 등)이 있습니다.
안전대책은 첫째, 설계기준 준수로 제조자가 제공하는 사용설명서를 준수해야 합니다. 둘째, 안전밸브 조정으로 최대 정격하중 시 압력 이하로 작동되도록 조정해야 합니다. 셋째, 해지장치 사용으로 하물 운반 시 해지장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넷째, 경사각 제한으로 명세서에 적힌 지브 경사각 범위에서 사용해야 하며, 3톤 미만은 제조자가 지정한 범위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상입니다.
728x90
반응형
'산업안전지도사(건설) > 산업안전지도사 3차 면접 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 터널공사 시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와 기타 안전조치 ★★★ (0) | 2025.07.06 |
---|---|
71. 차량계 건설기계의 전도방지 조치 ★★★ (0) | 2025.07.06 |
69. 굴착기를 이용해 작업할 때 안전조치 사항과 인양작업시 준수사항 ★★★ (0) | 2025.07.06 |
68. 항타기와 항발기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경우 준수사항과 점검사항 ★★★ (0) | 2025.07.06 |
67. 고소작업대를 설치, 이동, 사용하는 경우 준수사항 ★★★ (1)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