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시공기술사/11. 기출문제

토목시공기술사 135회 단답형 터널공사의 숏크리트

by 토목기술자장씨 2025. 4. 5.

 

1. 숏크리트의 정의 

숏크리트란 컴프레셔 혹은 펌프를 이용하여 노즐 위치까지 호스 속으로 운반한 콘크리트를 압축공기에 의해 시공면에 뿜어서 만든 콘크리트이다. 터널 및 지하공간 건설에서 중요한 지보재로 활용되며, 특히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공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2. 숏크리트의 종류

2.1 타설 방식에 따른 분류

구분 건식 숏크리트(Dry Process) 습식 숏크리트(Wet Process)
혼합 방식 시멘트와 골재를 현장 투입 후 노즐에서 물과 혼합 미리 배합된 콘크리트를 압송하여 시공
시공 속도 상대적으로 느림 빠른 시공 가능
리바운드율 20~50% 5~15%
품질 균일성 작업자의 기술에 의존도가 높음 균일한 품질 확보에 유리
분진 발생 많음 적음
적용성 소규모 공사, 특수 작업에 적합 대규모 공사, 대량 타설 작업에 적합

2.2 기능에 따른 분류

  1. 임시 지보재(Temporary Support): 터널 및 지하공간 구조물의 조기 안정화와 초기 및 중간 기간의 하중에 대하여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 지보재
  2. 영구 지보재(Permanent Support): 숏크리트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장기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며, 수밀성을 가지게 하여 영구적인 구조물로 역할하도록 하는 지보재

3. 숏크리트의 기능

  • 지반과의 부착 및 자체 전단 저항효과로 외력을 지반에 분산
  • 붕락하기 쉬운 암괴를 지지하며, 굴착면 가까이에 지반 아치 형성 유도
  • 강지보재 또는 록볼트에 지반 압력 전달
  • 굴착된 지반의 굴곡부를 메우고 절리면 사이를 접착시켜 응력집중 방지
  • 굴착면을 피복하여 풍화방지, 지수, 세립자 유출 방지
  • 비탈면, 법면 또는 벽면 보호

3.1 영구 지보재로 사용될 경우 추가 기능

  • 부착강도와 전단강도는 암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커야 함
  • 지반하중에 의한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는 강도 확보
  • 휨하중, 전단하중에 대한 저항과 균열 발생 대비 높은 인성 확보
  • 수밀성, 동결융해저항성 등 장기 내구성 확보
  • 필요시 화재에 대한 안전성 확보
  • 조명, 환기 등 부대설비 고정 가능한 강도와 부착성능 확보

4. 숏크리트 시공 순서

  1. 시공면 준비
    • 작업 중 낙하할 위험이 있는 들뜬 돌, 풀, 나무 등 제거
    • 용수가 있는 경우 배수파이프나 배수필터 설치
    • 흡수성이 높은 면은 사전에 물을 뿌려 처리
    • 동결하였거나 빙설이 있는 경우 녹여서 표면의 물 제거
  2. 보강재 설치
    • 철망, 강섬유 등 보강재 설치(필요시)
    • 보강재는 뿜어 붙일 면과 20~30mm 간격을 두고 근접시켜 설치
  3. 재료 준비 및 배합
    • 시멘트, 골재, 급결제 등 재료 준비
    • 건식의 경우 배치 후 45분 이내, 습식의 경우 배치 후 60분 이내 타설
  4. 숏크리트 타설
    • 노즐은 항상 뿜어 붙일 면에 직각으로 유지, 적절한 거리와 압력 유지
    • 하부로부터 상부로 진행, 강지보재 부분 먼저 타설
    • 1회 타설 두께는 100mm 이내로 제한
  5. 양생
    • 저온, 건조 및 급격한 온도 변화나 발파진동에 대한 양생 대책 수립
  6. 품질 확인 및 점검
    • 시공 직후 및 일정 시간 경과 후 표면 상태 점검
    • 코어 채취를 통한 강도 확인 및 두께 측정

5. 숏크리트 시공 시 주의사항

5.1 뿜칠 전 주의사항

  • 면정리 및 청소: 부착력 확보를 위해 철저한 면정리와 청소 실시
  • 급결제 사용량 조절: 시공 조건, 사용재료, 조기 강도 발현 효과, 장기강도 저하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정량 사용(일반적으로 시멘트 중량의 3~8%)
  • 환경조건 확인: 대기 온도가 10℃ 이상, 32℃ 이하에서 작업 실시
  • 재료 온도 관리: 재료 온도는 10~32℃ 범위 유지

5.2 뿜칠 중 주의사항

  • 분사 각도 유지: 노즐은 항상 뿜어 붙일 면에 직각(90°)이 되도록 유지
  • 적절한 두께 관리: 1회 타설 두께는 100mm 이내로 제한하여 흘러내림 방지
  • 타설 방향: 하부에서 상부로 타설하며, 강지보재 부분 먼저 타설하여 일체성 확보
  • 리바운드 관리: 리바운드된 재료가 다시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
  • 층간 부착력 확보: 다층 타설 시 각 층 간의 부착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관리

5.3 뿜칠 후 주의사항

  • 표면 균열 및 박리 점검: 시공 후 표면의 균열, 박리 등 결함 검사
  • 적절한 양생: 급격한 건조 방지 및 충분한 강도 발현을 위한 양생 실시
  • 두께 검측: 설계 두께가 확보되었는지 확인(핀 또는 코어 채취 등 방법 활용)
  • 품질관리 시험: 압축강도, 부착강도, 휨강도 등 필요한 시험 수행

6. 숏크리트의 성능 기준

6.1 일반 숏크리트

  • 설계기준압축강도(28일): 21MPa 이상
  • 급결제: KCI-SC102, KS F 2782 기준에 적합한 것
  • 분진농도: 5mg/m³ 이하
  • 반발률: 20~30% 이하

6.2 영구 지보재용 숏크리트

  • 설계기준압축강도(28일): 35MPa 이상
  • 부착강도(28일): 1.0MPa 이상
  • 초기강도: 3시간 1.0~3.0MPa, 24시간 5.0~10.0MPa
  • 수밀성, 동결융해저항성 등 내구성 확보

7. 품질관리 및 검사

7.1 일상관리

  • 배합비 및 사용량 검사: 타설할 때마다
  • 숏크리트의 부착, 성상, 반발, 분진발생 등 관찰: 타설할 때마다
  • 두께 확인: 핀 등에 의한 확인, 타설할 때마다
  • 변상, 변형 및 균열 등 관찰: 매일

7.2 정기관리

  • 두께 검측: 터널연장 20m마다(아치부 5개소, 측벽좌우 각 1개소)
  • 압축강도 시험: 1일, 28일 강도
  • 휨강도 및 휨인성 시험: 보강섬유 사용시
  • 코어 채취를 통한 품질 확인: 1회/1,000m²

주의: 숏크리트의 품질은 숏크리트 타설 작업원의 숙련도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충분한 기술적 숙련도를 갖춘 작업원이 타설해야 한다.